반응형

 

 

Jonk로 일본 프로그램 실행하기! (윈도우7도 가능!)

 


 

 

 

요 며칠동안 넬타와 어플로케일로 유니코드를 변경하여 일본 게임등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했습니다.

 

많이 쓰는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applocale과 넬타(ntlea) 외에도 'jonk' 라는 프로그램으로도 유니코드 변경이 가능합니다.

 

프로그램마다 복사를 하고, 파일 편집을 통해서 게임의 경로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따르지만, 상기 두 프로그램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쓰는 최후 수단정도로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jonk의 사용법은 조금 번거롭습니다 ^^

 

 

1. Jonk가 들어있는 압축 파일을 풉니다.

   아무대나 풀어도 상관 없지만 원하는 게임이 들어있는 폴더에 넣는 편이 편한 것 같습니다.

   아무튼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이 파일들여 여러가 나옵니다.

 

 

 

 

 

 

 

2. run파일을 우클릭 -> 편집(E) 을 누릅니다.

   실행시키고자 하는 게임의 주소를 편집하려고 하는 것 입니다.

 

 

 

 

 

 

 

3. 아래 그림과 같이 konj.bat 다음에 원하는 게임의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게임이 c:\game\pm2 에 들어있고, 실행파일명이 pm2.exe 라면, 

   konj.bat c:\game\pm2\pm2.exe 라고 입력합니다. ㅋㅋㅋ

 

 

 

 

 

 

4. run 파일을 실행하면 게임이 바로 시작 됩니다.

 

 

 

 

 

* 참고

 

저는 윈도우7 64비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위 방법을 사용하면 Jonk로 일본 프로그램(게임)이 무리없이 실행 됩니다.

그리고 주소에 한글은 들어가면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니코드를 변경하는 것 이니까, 한글이 들어가면 가짜인것이 들통나나 봅니다 ㅠ

 

 

 

 

 

Jonk(종크) 파일 다운:

 

 Jonk.zip

 

 

 

 

 

이상으로 'Jonk로 일본 프로그램 실행하기! (윈도우7도 가능!)' 포스팅을 마칩니다.

만족하셨다면 추천 한 번 눌러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7 어플로케일(AppLocale) 다운 및 사용법 

 

 


 

 

 

어플로케일(AppLocale)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XP, 2003용 프로그램 입니다.

 

사용중인 지역 외의 유니코드가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죠. 양덕후들도 많이 쓰고, 우리나라 덕후들도 애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들었다고 해서 더욱 신뢰가 가는 프로그램입죠 ㅋㅋ

프로그램도 무료고요 ㅎㅎ

 

 

 

 

 

어플로케일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어플로케일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2.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원하는 파일을 찾는다.

  

 

 

 

 

 

 

3. 응용 프로그램 언어: 에서 프로그램을 만든 국가를 선택한다.

   미연시는 당연히 일본어겠죠? ㅋㅋ

 

 

 

 

 

 

 

4. 마침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자주 쓸 것 같은 프로그램은 박스 중간의 체크란에 체크를 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든다.

 

 

 

 

 

 

 

이렇게 하면 게임이 바로 실행되는데, 어플로케일로 모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 추가적으로 넬타(ntlea)나 jonk를 써야 할 때도 있습니다.

 

넬타(ntlea)나 jonk는 제 블로그의 다른 포스트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 참고

 

어플로케일 설치 오류가 나는 경우

 

1. 설치파일을 우클릭하여 속성 -> 호환성 -> 호환모드 체크, 권한수준의 관리자 권한 체크

2. 파일을 c:/로 옮긴다.

3. 시작 버튼을 누른 후 나오는 검색창에 cmd를 입력 -> cd/ 을 입력

4. 어플로케일 설치 파일명(apploc)을 입력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어플로케일 다운 주소: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13209

 

 

 

 

 

 

 

이상으로 '윈도우7 어플로케일(AppLocale) 다운 및 사용법' 포스팅을 마칩니다.

만족하셨으면 추천 한 번 눌러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넬타(NTLEA)로 일본 프로그램 실행하기 (윈도우7 실행 가능!)

 


 

 

 

윈도우(윈도우7 등등...)에서 웹하드에서 받은 일본에서 만든 게임(미연시가 대부분일듯 ㅋㅋ) 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웹하드에서 일본 게임을 받아서 하다 보면 가끔 실행이 되지 않아 에로사항이 꽃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보통 jonk나 어플로케일(AppLocale) 그리고 넬타(NTLEA)를 사용합니다.

 

저는 어떤 경우에 어떤 프로그램을 써야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보통은 어플로케일로 안되던 게임들이 넬타로는 대부분 실행되더군요.

 

 

 

 

 

넬타의 사용법은 다음와 같습니다.

 

 

1. ntleac 실행 파일을 우클릭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A)' 을 실행한다.

      

 

 

 

 

  

 

 2. 이름 옆에 그림이 있는 NTLEA 파일을 선택하여 열기를 누른다. 

  

 

 

 

 

 

 

 

 

3. 넬타(NTLEA)가 실행되면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OK 버튼을 누른다.

 

 

    

 

 

  

 

 

4. 게임의 실행파일을 우클릭을 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나오는데

    화살표로 표시된 'Execute by NTLEA (R)' 을 누르면 게임이 바로 시작된다.

    (블로그 심의 규정상 넬타 실행 파일을 선택함 ^^;)

  

 

 

 

 

 

 

 

넬타(NTLEA) 0.87 버전 다운받기:

 

 

ntlea_087_beta.zip

 

 

 

  

 

 

그럼 이상으로 '넬타(NTLEA)로 일본 프로그램 실행하기 (윈도우7 실행 가능!)' 포스팅을 마칩니다.

만족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눌러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내 블로그의 점수는? 블로그 지수 확인하기!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자신의 블로그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 올랐는지 궁금해 집니다.

보통 포스팅한 글의 수나 댓글, 방문자 수 등으로 대략적으로 파악은 하지만, 이를 개인이 구체적인 수치로 환산해서 확인하기는 무리가 따르죠.

 

그런데 오늘 소개 해 드리는 블로그 이브(이 이름이 맞는지요...? 저 화살표도 글씨인가....) 라는 사이트에서는 

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보여줍니다.

 

이런 놀라운 기능이 ㅋㅋ

 

그리고 자신의 블로그 점수를 올릴 수 있는 대략적인 방법도 제시 해 주고 있습니다.

 

아... 물론 영어로 말입니다... ㅠ_ㅜ

 

 

블로그 지수를 평가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이렇게 사이트 좌측에 주소를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누르고,

 

 

 

 

 

 

 

어느정도 기다리면...

 

 

 

 

 

 

 

이렇게 자신의 블로그를 4가지 측면으로 분석해서 점수와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블로그 지수는 영향력, 인기도, 참여도, 신뢰도 이렇게 총 4가지로 평가됩니다.

 

 

 

 

 

 

 

그리고 너무나도 친절하게 이렇게 장문의 안내까지 곁들여 주는데요....

 

아 읽기 싫어지네요 -_-

 

뭐 언젠가 오르지 않을까요? ㅋㅋ

 

뭐 공신력이 있는건 아니지만, 블로그 이브에서 제시하는 여러 사이트들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블로그 지수가 몇 점인지 나름 예측할 수 있는 점은 참신하고 재미있다고 봅니다.

 

블로그 운영하시는 분들은 한 번 쯤 해 보세요.

 

 

그럼 이상으로 '내 블로그의 점수는? 블로그 지수 확인하기!' 의 포스팅을 마칩니다.

 

 

 

 

반응형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드바 좌,우 변경하기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점점 블로그 스킨을 마음대로 변경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겨나게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HTML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여 평소에 들어가던 블로그들의 그 맛깔나는 스킨을

따라하기는 힘들죠 ㅠ

 

그래서 무료로 배포되는 스킨을 많이들 다운 받고는 합니다.

 

그래서 저도 어떤 블로거께서 무료로 배포하시는 스킨을 받아 쓰고 있습니다 ㅠ

(http://daisy.pe.kr/에서 본 블로그의 스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아무튼 그렇게 스킨을 쓰다가 보면 사이드바의 좌,우 위치를 바꾸고 싶을 때가 가끔 있는데요,

그런 경우에 쉽게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사이드바 위치 변경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블로그 관리 메뉴로 들어간다.

 

 

2. '꾸미기'의 HTML/CSS 편집 메뉴로 간다.

 

 

 

 

 

 

 

3. Ctrl + f 키를 눌러 찾기 메뉴를 활성화 시킨다.

   

 

 

 

 

 

 

4. #sidebar를 찾아, float: 다음에 사이드바가 들어갈 위치를 입력한다.

  사이드바를 왼쪽에 놓고 싶다면 left; , 오른쪽에 놓고 싶다면 right; 를 입력한다.

  (세미콜론(;)도 같이 입력합니다)

 

 

 

 

 

 

 

5. #content를 찾아 float: 다음에 본문 화면이 위치할 위치를 지정한다.

  사이드바의 반대쪽을 지정하면 되므로, 사이드바가 왼쪽이라면 right;를 오른쪽이라면 left;를 입력한다.

 

 

 

 

 

 

 

6. 저장을 누르고 블로그 첫 화면으로 가서 확인을 한다.

 

 

이렇게 6단계만 거치면 사이드바의 위치가 바로 옮겨져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드바 좌,우 변경하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애드센스 무효, 부정 클릭 신고 

 


 

구글 애드센스는 인터넷 광고중에서 규모도 규모지만, 그 정책의 엄격함에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있습니다. 부정클릭 뿐만 아니라, 광고 게재 방법에 대한 규정도 잘 지켜야 오랫동안 파트너가 될 수 있지요. 

 

애드센스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면, 과거에 관련 포스팅을 많이 하다가, 어느순간 정책 위반으로 광고 게재가 중지되어버린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방지의 일환으로 구글에 자체적인 신고를 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저도 얼마전에 실수도 제 블로그의 광고를 두 번 정도 누르고나서 깜짝 놀란적이 있었는데요, 구글에 자진 신고를 통해, 이를 취소할 수 있었습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먼저 하단의 주소로 접속합니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bin/request.py?hl=ko&contact_type=invalid_clicks_contact&rd=2

 

 

 

 

 

2. 그러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이메일은 로그인이 되어있으면 자동으로 입력되며, 나머지인 이름과 웹게시자 ID, 블로그 주소 등을 입력 합니다.

 

주제는 '눈에 띄게 특이한 계정활동 알리기'와 '의심되는 계정활동 보고하기'가 있는데,

저는 '눈에 띄게 특이한 계정활동 알리기'를 선택 하였습니다.

 

그리고 대략적인 시간과 이유 등을 입력하고 제출을 하면 됩니다.

 

제목 밑의 빨간색 글씨로된 안내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회신은 없었습니다만,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실수로 클릭하여 올라간 수입이 감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실수로 클릭할 때마다 신고를 통하여 광고가 끊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근본적인 예방책으로는 블로그 편집시 크롬과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클릭 자체를 막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애드센스 무효, 부정 클릭 신고 방법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inicrypto45.dll 오류 초 간단 해결!

 


 

 

 

저는 윈도우7 64비트를 쓰는데요,

 

어제 인가 그저께 인가 네이버에서 파일을 좀 받으려고 하는데 이런 문구가 뜨더군요.

 

inicrypto45.dll이 뭐야??? 엉??? 내가 뭐 잘못한거야? 으어엉?

 

뭐 지금도 저게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인터넷에서 파일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해결 방법도 쉽더군요.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윈도우가 64비트인 경우에는 C:\WINDOWS\SYSTEM 폴더에 복사하고,

윈도우가 32비트인 경우에는 C:\WINDOWS\SYSTEMS32에 복사합니다.

 

이렇게 하면 inicrypto45.dll 오류 문제는 해결 입니다 ^^

 

 

inicrypto45.zip

 

 

 

 

 

이상으로 'inicrypto45.dll 오류 초 간단 해결!' 포스팅을 마칩니다.

만족하셨다면 추천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최근 멜론 업데이트로 EQ가 생긴것 다들 알고 계신가요?

예전부터 고대하던 기능이 생겨서 정말 마음에 듭니다 ㅋㅋ

 

EQ는 이퀄라이저의 약어로서, 

국어사전에서는 <음성 신호 전체적 주파수 특성 가공하고 조절하여 알맞은 음역 유지시키는 장치>라고 정의내리고 있습니다.

 

무슨 뜻 이냐고요?

 

뭐 간단히 말 하면 MP3를 들을 때 여러가지 소리가 함께 어우러지면서 '음악'이라고 사람이 인지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개인의 취향에 맞게 특정 음을 강조하거나 제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 합니다.

 

그렇다고 멜론 EQ로 특정음을 아예 없애버리는건 힘들고, 조금 낮게 만들어주는 정도의 역할은 가능합니다.

 

예전에 MD를 사용 해 보셨거나, 이어폰등에 관심이 많으셨던 분 이라면 본인 소유 장비의 '음장'기능 등을 종종 사용 해 보셨을 걸로 압니다.

 

 

 

 

멜론 EQ에서는 사진에서 보는 것 처럼 250, 500, 1K, 2K, 4K, 8K 라는 숫자가 있고 이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게 뭔 소리냐고요?

 

각 막대와 숫자는 특정한 음의 영역을 가르키고 있는겁니다.

 

예를들면

 

 저음역

  20~100Hz

 중저음역

 100~1,000Hz

 중고음역

 1,000~5,000Hz

 고음대역

  5,000~20,000Hz

 

이렇게 구분지어지며,

 

 

어느 다음 카페를 참조하자면

 

Kick drum          bottoms 60~80Hz, slap attack 2,5kHz
Snare drum       fatness 240Hz, crispness 5kHz
Hi-hat/cymbal  clank sound 200Hz, shimmer 7,5~12kHz
Rack toms         fullness 240Hz, attack 5kHz
Floor toms        fullness 80~120Hz, attack 5kHz
Bass guitar       bottoms 60~80Hz, attack/plug700~1,000Hz, string noise/pop  2,5kHz
Electric guitar    fullness 240Hz, bite 2,5kHz
Acoustic guitar  bottoms 80~120Hz, body 240Hz, clarity 2,5~5kHz
Electric organ    bottoms 80~120Hz, body 240Hz, presence 2,5kHz
Acoustic piano   bottoms 80~120Hz, presence 2,5~5kHz, crisp attack 10kHz
Horns                fullness 120~240Hz, shrill 5~7,5kHz
Strings              fullness 240Hz, scratchiness 7,5~10kHz
Bongo               resonance 200~240Hz, presence/slap 5kHz
Vocal                fullness 120Hz, boominess 200~240Hz, presence 5kHz, sibilance 7,5k

 

로 세부적으로 나뉘어 진다고 하네요......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거 신경써가면서 세부적인 조정을 해서 노래를 들을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AV매니아들이 아니면 뭔 소린지도 잘 모르겠고 말이죠.

 

 

그래서 멜론에서는 스마트 EQ를 준비했습니다 ㅠ

 

 

 

 

 

 

중요한건 스마트EQ를 할 때 아주 조용한 곳에서 해야 테스트가 잘 된다는 겁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실시하는 청력테스트 같은 삑삑 거리는 소리를 맞추는거거든요.

 

아무튼 맹탕 MP3만 듣기에는 뭔가 허전했는데 이번 업데이트로 멜론에 대한 만족도가 아주 올라갔습니다.

 

이어폰으로 노래 들으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 쯤 써 보시길 권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MSI 애프터버너 (afterburner)로 게임화면 녹화하기

 


 

 

게임화면 녹화 할 때 어떤 프로그램을 쓰시나요?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제한이 있지는 않나요?

 

혹시 지금 쓰고 있는 녹화 프로그램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MSI 애프터버너 (Afterburner)' 를 써 보시길 추천합니다.

 

보통 MSI 애프터버너(Afterburner)는 오버클러킹을 할 때 많이들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만,

게임화면 녹화 기능도 아주 끝내줍니다.

 

 

 

 

 

게임화면 녹화 방법은,

 

 

1. MSI 애프터버너(Afterburner)를 실행하고, 우측 하단의 셋팅 버튼을 누른다.

 

 

 

 

 

 

 

2. 설정 메뉴에서 '비디오 캡처' 메뉴로 간다.

 

 

 

 

 

 

3. 비디오 캡처 단축키의 비디오 캡처 오른쪽을 눌러 단축키를 설정한다.

   그리고 '비디오 폴더' 에서 원하는 저장 폴더를 선택한다.

 

 

 

 

 

 

 

일단 이렇게 하면 게임 실행 후, 바로 캡처가 가능합니다.

 

그 후에 목적에 따라 세부설정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화면 캡처 기능도 있으니 단축키만 설정하시만 똑같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SI 애프터버너는 프리웨어이며 http://file.daum.net/pc/view.html?fnum=343502&cat=1&scat=34 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MSI 애프터버너 (afterburner)로 게임화면 녹화하기' 포스팅을 마칩니다.

만족하셨다면 추천 한 번 눌러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쉽게 따라하는 순정 아이폰 NDS 에뮬 설치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순정 아이폰에 NDS 에뮬 설치하는 법을 소개 해 보려고 합니다.

 

설치는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1. nds4ios.angelxwind.net 에 접속한다.

 

 

 

 

 

 

 

2. 스크롤을 내려서 인스톨 버튼을 눌러 설치한다.

 

 

 

 

 

 

 

3. 인스톨이 되면 어플을 누르면 바로 실행이 된다.

    다만 어플 인스톨이 안되거나 튕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럴때는 여러번 재설치를 해 보면 된다.

 

 

 

 

 

 

 

4. 실행 후 오른쪽 위에 있는 + 버튼을 누른다.

이 버튼을 통해 에뮬 롬을 다운받을 수 있다.

 

 

 

 

 

 

 

5. CoolRom.com에 접속한다.

+ 버튼을 누르면 구글에 접속되 자동으로 해당 사이트가 검색된다.

 

 

 

 

 

 

 

6. 원하는 게임을 찾는다.

 

 

 

 

 

 

 

 

 

 

 

 

7. 게임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설명 화면이 나오는데,

 

 

 

 

 

 

 

다운로드를 누르고 어느정도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8. 이 때, 열기를 누른 후, nds4ios로 파일 열기를 한다.

 

 

 

 

 

9 nds4ios에 해당 롬이 다운 됐으므로, 게임을 시작하면 된다.

 

 

 

 

 

 

* 게임 플레이 자체는 가능하나, 속도가 약간 느립니다.

  빠른 업데이트를 기대할 수 밖에 없습니다 ㅠ_ㅜ

 

반응형

+ Recent posts